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

예금,적금도 단타? 금리가 이상하대요 요즘 주식시장 분위기가 안 좋으면서 투자자들의 돈이 갈 속을 잃었잖아요. 안전하면서도 쏠쏠한 이자를 약속받는 예금, 적금에 관한 관심이 다시 늘고 있습니다. 최근 예금, 적금을 살펴보면 조금 이상한 점이 있습니다. 단기 예금 상품 금리가 오르고 있는데, 몇몇 은행에서는 초단기 예금 상품의 금리가 상대적으로 만기가 긴 상품의 금리를 추월하기도 했거든요. 거꾸로였던 것 같은데... 맞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만기가 길수록 예금 금리가 높아지는게 맞습니다. 은행은 고객들이 돈을 오랫동안 맡기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만기가 긴 상품의 금리를 더 높게 잡습니다. 긴 만기까지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는 위험도 있습니다. 보통 6개월 만기 예금보다 1년 만기 예금에 이자를 더 얹어주는게 정상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만기.. 2023. 11. 2.
집값 띄우기 이렇게 했다간 형사처벌!? 2023년 7월 25일부터 아파트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이 등기 여부가 표시됩니다. 실거래가는 부동산 계약일 이후 30일 안에 신고해야 합니다. 부동산 소유권 이전 등기는 잔금을 치른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시간차를 악용해,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계약상 실거래가를 신고한 뒤 계약을 취소해 버리는 일이 빈번했습니다. 팬데믹 시기에 문제가 많았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집값 띄우기를 하면 당사자들의 손해 없이 주택의 시가를 높일 수 있어요~ 다른 구매자가 왜곡된 가격에 추격매수를 하게 만들어, 주택 가격을 급격히 올리게 만들었었죠. 이런 방식의 "집값 띄우기"는 팬데믹 이후 부동산 호황기에 횡행했습니다. 20201년과 2022년 계약이 취소된 서울 아프트 중 43.7%가 .. 2023. 11. 1.
극민연금 그래서 돈을 더 내게 된다고요? 이대로라면 국민연금이 고갈될 거라는 이야기가 많았잖아요. 정부가 "우리가 한 번 바꿜볼게!"라고 나서면서 약 1년 동안 여러가지 방안을 고민하다가 지난 27일 국민연금 개혁안 _ Ver_정부_최종안"을 발표했습니다. 국민연금 어떻게 바꾸겠다고 했을까요? 대표적인 내용을 살펴 보겠습니다. 1. 나이에 따라 다르게!! 나이에 따라 보험료율을 올리는 속도를 다르게 하겠다고 했습니다. 20~30대 청년의 보험료는 천천히 올리고, 40~50대는 빠르게 올리겠다는 것! 예를 들면 5%P를 올린다고 하면 20~~30대는 15~20년에 걸쳐 올리고 40~50대는 5년동안 1%P씩 올리는 겁니다. 2. 국민연금 무슨 일이 있어도 꼭 줄게 연금기금이 고갈돼도 국가가 지급하겠다는 내용을 법으로 딱 적겠다고 했습니다. 보험료.. 2023. 11. 1.
앞으로 현금 정말 사라질까? 여러분 지갑 속에는 현금이 얼마나 들어있나요? 요즘 여러 결제 수단이 생기면서 현금을 직접 들고 다니는 사람이 줄었습니다. 한국은행이 이보다 한 발 더 나아가 현금을 디지털 지갑에 쏙 넣는 테스트를 본격적으로 진행 한다고 합니다. 현금을 디지털 지갑에 넣는다고요? 지난 4일 한국은행이 디저털화폐(CBDC)를 일상에서 사용하기 위해 본격적인 테스트를 하겠다고 했습니다.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는 중앙은행이 직접 발해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화폐 입니다. 실물 형태의 지폐나 동전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사이버 형태의 돈인 겁니다. 지갑에 들고 다니던 현금이 그대로 디지털 지갑으로 들어가는 셈인겁니다. 어떤 테스트를 하나요? 먼저 은행 등 금융기관이 사용할 .. 2023. 10. 31.